애니메이터 Owen Kim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Orientation
01. 연사 소개- 참여 작품 소개
02. 영화 애니메이션과 게임 애니메이션의 차이- 15년 경험을 바탕으로 알아보는 영화와 게임 애니메이션의 차이
03. 동영상 기반의 모션 캡쳐-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SECTION 02
총 쏘다 쓰러지는 모션 제작
04. 마야 설치 및 기본 세팅- 처음 설치 및 세팅 단축키 설정
05. Animbot- 설치와 자주 쓰는 기능 설명
06. 레퍼런스 서칭과 모캡 추출하기- Quickmagic을 활용해 유튜브 영상에서 모캡 데이터 추출하기
07. 캐릭터 선정 및 모캡 연결- 마야에서 모캡데이터를 Kong 리그에 리타겟하기
08. 캐릭터 셋업 및 애니메이션 퀄리티 업- Track Editor, Studiolibrary, animbot 등 활용해 퀄업하기
09. 언리얼 설치 및 기본 세팅- 처음 설치 및 세팅 단축키 설정
10. 마야에서 언리얼로 내보내기- 애니메이션 언리얼에 임포트 하기 - 카메라 설정 후 익스포트 하기
11. 나이아가라 이펙트 추가하기- Muzzle effect, dust 등 추가
12. 언리얼 최종 렌더링- 언리얼에서 렌더링 세팅
- SECTION 03
칼 휘두르기 모션 제작
13. 레퍼런스 서칭과 모캡 추출하기- Quickmagic을 활용해 유튜브 영상에서 모캡 데이터 추출하기
14. 포즈에 대해- 좋은 포즈란
15. 캐릭터 선정 및 모캡 연결- 마야에서 모캡 데이터를 Hybrid 리그에 리타겟하기
16. 캐릭터 셋업 및 애니메이션 퀄리티 업- Track Editor, Studiolibrary, animbot 등 활용해 퀄업, 페이셜 애니 추가
17. 애니메이션 디포머 추가하기 - 디포머 종류 알아보기 - 스트레치 스쿼시 추가하기
18. FX 추가 후 최종 렌더링- 칼의 잔상표현 - shockwave 추가 후 최종 렌더링
- SECTION 04
시네마틱 제작 01
19. 컨셉 설정하기- 대략의 스토리와 캐릭터 정하기
20. 에셋과 캐릭터 배치- 무료 에셋으로 캐릭터와 배경 배치하기
21. 카메라 애니메이션과 팁들- 샷의 종류 설명 - 카메라 쉐이크
22. 스토리보드 제작 및 프리비즈- 간단한 스토리보드를 제작하고 마야에서 프리비즈 진행하기
23. 레퍼런스 촬영 및 수집- 유튜브영상을 Quickmagic을 통해 모캡데이터추출
- SECTION 05
시네마틱 제작 02
24. 하나의 모캡으로 합친후 애니메이션 퀄업- Track Editor, Studiolibrary, animbot,등 활용해 퀄업,페이셜애니 추가
25. 마야에서 언리얼로 전부 불러오기- 캐릭터와 카메라 불러오기 - 언리얼 시퀀스에 대하여
26. 카메라 디테일 추가 후 보조 라이팅 설치- 카메라 Focal Length - 포커스 조절 - 라이트 추가
27. Deformer와 FX 추가하기- 칼의 잔상 표현하기 - 스트레치 스쿼시 추가하기
28. 편집 및 AI를 이용해 음악 추가하기- suno를 이용해 원하는 bgm 만들기
- SECTION 06
마무리
29. 애니메이션 공부 방법 & 데모릴 TIP- 원하는 회사를 서칭하고 알맞은 데모릴 준비하기 - 데모릴 구성 TIP
30. 강의를 마무리하며- 현재 업계 동향 및 마무리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