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의사 뇌부자들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뇌과학]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뇌 만들기
01. 감정의 뇌과학 : 왜 나는 이렇게 예민하고 우울할까?- 감정과 생각, 뇌 회로가 작동하는 원리부터 파악하기 - 불편한 마음이 계속될 때 : 우울증, 불안장애의 초기 신호를 구별하는 법 - 우울할 때 뇌에서 벌어지는 일들 : 기분 저하와 뇌의 연결, 기분 리셋 기술
02. 번아웃 자가진단 : 슬럼프는 뇌가 피곤하다는 신호- 피로 누적과 감정 회복력의 연관성 - 감정 고갈이 오기 전 뇌에서 보내는 신호
03. 도파민 과부하 시대, 감정을 안정시키는 3가지 뇌 훈련법- 자극-반응 사이 ‘틈’ 만들기, 마인드풀 테크닉 - 건강한 사람들의 생각의 프레임 - 무의식의 매커니즘을 활용한 개선법 - 의욕과 무기력 사이의 조절 기술
04.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는 뇌 구조- 스트레스, 회피 말고 ‘처리’하는 실전 전략 - 코르티솔-편도체 반응을 줄이는 인지적 처리 전략 & 스트레스 예민성 감소법
05. 무너진 자존감 복구법 - 자존감이 자꾸 무너지는 뇌 구조 - 비교, SNS, 타인의 평가로 깎인 자존감 회복 루틴 - 자기비판, 비교 중독, SNS 피로 대처 전략
06. [실습] 자기혐오와 무기력을 벗어나는 뇌 재훈련법- 우울기 저점에서 올라오는 과정 - 자기비판 사고 추적 & 뇌 회로 재구성 마인드맵 훈련
07. [실습] 내 멘탈 도둑 박멸하기- 감정 낭비 유발 인물 및 상황 점검표 작성 - 회피-과잉-억제 패턴 시각화하기
- SECTION 02
[정신질환] 자존감, 회피, ADHD
08. TCI 기질검사
09. 우울증에 대하여
10. 감정 과민 체계 다시 보기: HSP와 감정 예민성의 뇌과학적 이해- HSP 성향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 환경 민감성 관리 전략
11. 성인 ADHD, 혹시 나일까?- 진단 전 확인할 5가지 신호 알아보기 & 진단 - 집중력 장애, 감정 기복의 원인과 정신의학적 접근
12. 감정 폭발을 막는 감각 조절법- 감각 과민과 감정 기복을 다스리는 루틴 만들기 - 감각 자극 탐지, 과잉 반응 시뮬레이션 훈련, 이완 호흡 기술
13. 나르시시즘과 자기애의 경계선 찾기- 자기애성 성향과 자존감의 차이 - 공감 능력 회복을 위한 훈련
14. [실습] 자존감 리빌딩 저널링 : 예민함을 살리고 스트레스는 줄여보자- 자기 존중 기반 자기서사 재구성하기 - 하루 5문장 감정일기 훈련법
15. [실습] ADHD적 사고를 위한 집중력 루틴 짜기- 주의 산만 패턴 분석하기 - 25분 몰입 훈련 루틴 설계
- SECTION 03
[관계심리] 정신의학에 기반해 인간 관계 스트레스 줄이기 : 회사편
16. 회사에서 멘탈이 무너지는 진짜 이유- 직장 내 감정 소모 최소화 회로 세팅 - 조직 내 감정노동, 역할 혼란, 과잉 성취 욕구에 대한 신경학적 이해
17. 멘탈을 갉아먹는 관계 끊어내기 : 나르시시스트, 가스라이팅, 감정적 착취- 나르시시스트란 무엇인가? - 감정적 착취와 가스라이팅 - 실생활 사례 - 나르시스트에게 흔들리지 않는 '회색돌 기법' -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는 법 : 내 감정 신뢰하기
18. 멘탈을 갉아먹는 관계 끊어내기 : 경계성 성격 장애- 경계성 성격이란 무엇인가? -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오가는 대인관계 패턴 읽기 - 실생활 사례 - 심리적인 거리두기 훈련
19. 멘탈을 갉아먹는 관계 끊어내기 : 회피성- 회피성 성격이란 무엇인가? - 비판에 과도하게 민감한 사람들 - 직장에선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 감정 경계 지키기 & 안전 신호 주기
20. [실습] 직장인 멘탈 지키기 01 : 상처 안 주고 안 받는 대화법- 상처를 주고받는 3대 의사소통 패턴 알아보기 - 갈등 상황에서의 비폭력적 의사소통(NVC) -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한 감정 방어 전략
21. [실습] 직장인 멘탈 지키기 02 : 수행 불안(무대 공포증)- 수행 불안을 만드는 심리적 기제 - 인지 왜곡 수정하기 & 신체 반응 통제법
- SECTION 04
[관계심리] 정신의학에 기반해 인간 관계 스트레스 줄이기 : 대인관계편
22. 연애가 힘든 사람들의 뇌 작동 방식 : 연애의 시작과 관계 맺기- 감정 기복과 애착 시스템의 이해 - 애착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전략 - 매력적이지만 사귀면 위험한 사람들
23. 애착 유형 01 : 회피형- 회피형 인간의 뇌, 왜 피하려 할까? - 회피형의 심리 구조와 대응 전략 - 거리두기 패턴 분석 & 친밀 회피 회로 재훈련 기법
24. 애착 유형 02 : 불안형- 감정 의존-불안-통제욕 패턴 인식 및 자기안정 루틴 제시
25. [실습] 이별 후 무너진 멘탈 회복하기- 후폭풍 감정을 다루는 3단계 회복 플랜 - 애도 단계별 감정 해석 - 관계 단절 후 정서적 안정 회복 훈련
26. [실습] 유형별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는 관계 반전법- 관계별 감정 반응 분류 - 나를 위한 경계 언어 연습
- SECTION 05
[트레이닝] 최적의 효율을 내는 멘탈 능력 향상 실습
27. 뇌가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목표 설정법- 우리 뇌가 이끌려야 마음을 바꿀 수 있다 : 뇌가 반응하는 목표 vs. 반응하지 않는 목표 -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주변 방해물 제거하기 - 도파민 예측 시스템 활용하기 - 습관 만들기 3단계
28. 하루를 36시간처럼 쓰는 뇌 루틴 설계- 뇌는 ‘지능’보다 ‘루틴’에 반응한다 - 뇌 기반 시간 블록 설정 : 에너지 리듬에 맞춘 집중 루틴 만들기 - 강의 전반에서 배운 루틴을 기반으로 나만의 맞춤형 감정/에너지/관계 루틴 설계하기
29. [실습] 감정 효율 최적화를 위한 감정 정리 툴킷 활용법
30. [실습] 번아웃 방지 루틴 & 감정 리셋 저널 작성- 스트레스 누적을 감지하는 자가 체크리스트 - 감정 소진 리셋 루틴
31. [실습] ChatGPT를 활용한 감정일기와 칭찬일기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