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tionary] 2D애니메이터 감자만세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클립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툴 & 설정 이해
01. Orientation- 강사 소개 - 1년 안에 애니메이터/감독 데뷔하기 - 애니메이션의 특징 - 내가 좋아하는 건 그림일까? 감상일까? - 업계에 대하여
02. 클립 스튜디오 애니메이션 툴의 기초 이해- 애니메이션 툴에 대하여 - 애니메이션 파일 설정 - 셀 설정
03. 애니메이션 작업 설정 및 작화 용지 이해- 작화 용지란? - 크기별 작화 용지 이용법 - 현장에서의 표기 - 작화 용지 설정 - 레이아웃 등록
04. 빠른 작업을 위한 단축키 설정- 필수 단축키 소개
05. 프레임과 콤마에 대하여- 2,3,4 콤마의 특징 - 24~30 프레임의 강점과 특징
06. 카메라와 애니메이션 폴더- 카메라 설정 및 이동 방법 - 키프레임 설정 및 이동 방법 - 부분 움직임
07. 작업 완료 후 내보내기- APNG의 특징 - 영상 내보내기
- SECTION 02
공으로 보는 기초 애니메이션의 이해
08. 효과적인 표현법과 스타일 찾기- 움직임을 표현하는 여러 방법 - 2, 3, 4 콤마에 맞는 움직임이란? - 내가 표현하고 싶은 움직임에 맞는 콤마와 프레임 찾기 - 스타일 제시
09. 애니메이션 12가지 기본 법칙 01- 기본 법칙 설명과 응용 방법 - 직접 연기해 보기
10. 애니메이션 12가지 기본 법칙 02- 기본 법칙 설명과 응용 방법 - 직접 연기해 보기
11. 포즈 투 포즈- 필수 법칙 심화 - 확실한 포즈를 잡는 이유
12. 준비 동작과 사전 동작- 필수 법칙 심화 - 사전 동작의 중요성 이해
13. 아크- 필수 법칙 심화 - 생동감에 대하여 - 곡선의 움직임 이해
14. 팔로우-스루 & 옷과 머리카락- 필수 법칙 심화 -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타이밍의 이해
15. 프레임과 속도 스트레칭 & 액션- 필수 법칙 심화 - 프레임 배치에 의한 액팅 차이 이해하기 - 스트레칭을 사용한 기본 액션
16.쿠션- 필수 법칙 심화 - 동작 마무리에 대하여 - 쿠션의 유무에 따른 움직임 이해
17. 간단한 공의 움직임 준비- 사전 계획의 중요성 - 3가지 이상 법칙을 응용해 간단한 애니메이션 작업해 보기 - 포즈 투 포즈, 준비 동작, 아크
18. 연기와 속도를 이용해 공 튀기기- 5가지 이상 법칙을 응용해 간단한 애니메이션 작업해 보기 - 포즈 투 포즈, 준비 동작, 아크, 스트레칭, 쿠션
- SECTION 03
[얼굴] 캐릭터 움직이기
19. 포즈 투 포즈- 확실한 포징 방법 - 각도별 얼굴 제작 비율 - 일정한 드로잉 방법
20. 연기하며 눈 깜박이기- 눈 깜박임의 매커니즘 이해 - 다양한 타이밍과 분위기 연출 - 디테일 요소
21. 입 모양 립싱크 작화- 고정된 입 모양 작화에 대하여 - 효과적인 립싱크 작업 방법
22. 얼굴 돌리기- 준비된 원화로 얼굴 돌리기 - 타이밍이 다른 얼굴 돌리기 - 효과적인 액팅 방법
23. 아크를 사용해 캐릭터 연기하기- 아크를 이용한 얼굴 돌리기 - 고개 들기 - 기본적인 움직임 이해
24. 스트레칭을 사용해 연기하기- 스트레칭을 사용해 연기하기 - 고개 돌리기
25. 쿠션을 사용해 움직임 완화하기- 격한 움직임 후의 쿠션 - 더 격한 얼굴 움직임 후 효과적인 쿠션 방법
- SECTION 04
[전신] 캐릭터 움직이기
26. [심화] 브레이크 다운 (2차 설득 동작)- 감정과 재미를 불어넣는 애니메이션 기획 방법 - 2차 설득 동작에 대하여 - 연기 방법
27. [심화] 손과 발- 발과 손가락의 움직임 - 관절의 이해
28.[심화] 턴 어라운드- 기본적인 전신의 형태 - 전신 돌리기
29. [심화] 걷기와 달리기- 기본적인 걷기, 뛰기의 메커니즘 - 타이밍별 달리는 느낌
30. [심화] 아크를 사용해 캐릭터 연기하기- 발표하는 캐릭터 연기 - 허리를 숙였다가 일어나기 - 팔 들어 올리기
31. [심화] 스트레칭을 사용해 연기하기- 졸고 있는 캐릭터 연기 - 스트레칭을 이용한 연기 이해
32. [심화] 쿠션을 사용한 움직임 완화- 점프 후 착지 연기 - 쿠션의 효과 이해 및 적용
33. [심화] 로토스코핑- 로토스코핑이란? - 스스로 연기해 보기 - 응용 방법
34. [심화] 다수의 캐릭터와 복잡한 움직임 제작- 서로 밀고 당기는 캐릭터 2인 - 다수의 캐릭터 작업 시 주의 사항
- SECTION 05
이펙트 제작하기
35. 타이밍, 스트레칭, 과장을 활용한 이펙트 제작- 아크, 팔로우-스루, 준비 동작, 스트레칭, 과장, 쿠션 복습 - 이펙트의 매커니즘 이해
36. 자연물 이펙트 01 : 빛, 번개- 자주 활용되는 자연물 연기 타이밍의 이해 - 빛 연출 응용법
37. 자연물 이펙트 02 : 불, 물- 자주 활용되는 자연물 연기 타이밍의 이해 - 불, 물의 기본 매커니즘과 기초 이해
38. 인공물 이펙트 : 연기, 파편, 폭발, 도형 이펙트- 자주 활용되는 인공물 연기 타이밍의 이해 - 연기, 폭발의 기본 매커니즘과 기초 이해
- SECTION 06
[프리 프로덕션] 영상 제작 기획
39. 애니메이션 제작 흐름- 프리/메인/포스트 과정 - 리테이크와 멘탈 관리 - 현장의 흐름과 위치 - 파트별 직업명과 작업 내용
40. 프리 프로덕션이란?- 캐릭터 시트에 대하여 - 스토리보드에 대하여 - 애니메틱에 대하여
41. 파이프라인이란?- 파이프라인 개념 이해
42. 화면 비율에 대한 고찰- 분위기별 화면 비율의 개념 이해 - 레터박스란? - 애니메이션 분위기에 맞는 사이즈 선택법
43. 기획 및 콘셉트 잡기- 기존 작업물 예시 - 기획 및 콘셉트 설정 방법 - 실습 제작
44. 설정 제작, 프랍 제작, 자료 수집, 제작 일정- 컨셉아트 제작 - 배경 아트 제작 - 실습 제작
45. 작업 시트 만들기- 가시성 있는 작업 시트 제작 방법 - 시트의 필요성
46. 애니메이션에 맞는 캐릭터 디자인- 다양한 작화 제시 - 캐릭터 디자인 - 키비주얼의 이해 - 데포르메의 필요성
47. 각 캐릭터에 맞는 데포르메와 포징, 표정 설계- 실습 제작 - 캐릭터 시트 제작 방법 - 디테일한 프랍의 중요성
48. 단계별 캐릭터 작화 설계- 클로즈/원경에서의 작화 방법 - 디테일 살리기와 단순화
- SECTION 07
[프리 프로덕션] 스토리보드와 연출, 레이아웃
49. 스토리보드 작성 방법- 스토리보드의 중요성 - 글 콘티와 대본 보는 법 - 시놉시스, 트리트먼트, 대본의 이해 - 스토리보드 작성 방법 - 캐릭터 연기를 스토리보드로 작성해 보기
50. 플롯에 따른 스토리보드의 흐름- 스토리보드 읽는 방법 - 시나리오를 읽고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방법
51. 애니메이션 용어의 이해-연출 용어 : BOOK, 연출 지시, 훅업, 츠메 작성 방법 -촬영 용어 : Pan, T.U, F.O, F.I ,O.L ,A.C 의 이해 - 영화 용어와 애니메이션 용어의 차이
52. 레이아웃 제작 및 효과적인 구도 연출- 분위기에 맞는 레이아웃 작성 방법
53. 이미지 보드, 컬러 보드, 무드 보드-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효율적인 이미지 보드 제작 방법 - 작화 적용 방법
54. 빛과 색에 따른 분위기 연출- 분위기에 따른 색 설정 - 컬러가 가지는 분위기 속성 이해
55. 향반표란?- 애니메이션 향반표 읽는 법 - 향반표 작성 방법
56. 연출 지시- 연출에 대하여 - 스토리보드에 연출 지시 넣기
57. BOOK- 레이아웃 작업 시 BOOK에 대하여 - BOOK 활용
58. 훅업[A.C]- 레이아웃 작업 시 훅업에 대하여 - 훅업의 중요성
59. 츠메- 레이아웃 작업 시 츠메에 대하여 - 액팅 가이드 읽는 법
60. 촬영 지시- 가장 자주 쓰이는 촬영 용어 숙지하기
61. Pan- PAN을 사용한 연출 방법
62. T.U, T.B- T.U, T.B을 사용한 연출 방법
63. IN, OUT- IN, OUT을 사용한 연출 방법
64. 디졸브- 디졸브를 사용한 연출 방법
65. 애니메틱 제작- 완성된 스토리보드로 애니메틱 제작하기 - 타이밍에 맞는 컷 추가 이해 - 애니메틱의 중요성 - 빠른 콘티 내보내기 방법
- SECTION 08
[메인 프로덕션] 레이아웃과 작화 설계
66. 메인 프로덕션이란?- 단계별 메인 프로덕션의 진행 설명 - 작업 시간 - 현장에 대하여
67. 스토리보드/콘티에서 작화 진행하기- 콘티를 활용한 작화 진행 방법
68. 작화 설계 방법- 기본적인 작화 설계 방법 - TV 애니 고정 셀의 작화 설계 방법 - 추가적인 일본식 작업 용어 - 토메(とめ) 란? - 쿠치파쿠(口パク)란?
69. 연기컷 01 : 놀람- 아크, 스트레칭, 연기 실습
70. 연기컷 02 : 웃음- 아크, 스트레칭, 연기 실습
71. 연기컷 03 : 울음- 아크, 스트레칭, 연기 실습
72. 연기컷 04 : 다양한 포징을 활용한 액팅- 아크, 스트레칭, 연기 실습
73. 훅업 컷- 동작의 이어짐 - 컷의 이어짐 - 매끄러운 연출 방법
74. 클로즈업 컷- 클로즈업의 퀄리티 - T.U 사용
75. 카메라 사용 컷- 액션과 카메라의 이해 - Pan 사용
76. 배경과 카메라 사용 컷- 액션과 카메라의 이해 - Pan 사용
77. 클린업- 용어 이해 - 클린업 작업 방법 - 클린업에 유용한 파일 설정법 - 작업 시연
78. 컬러링- 용어 이해 - 컬러링 작업 방법 - 클린업에 유용한 파일 설정 및 툴 활용법 - 작업 시연
79. 메이크업- 용어 이해 - 작화를 올리는 빠른 방법 - 디테일과 하이라이트 - 작업 시연
80. [심화] 연출 및 타임시트에 맞는 애니메이션 작업- 현장에서 쓰이는 연출 타임시트 작성 방법
81. 촬영에 용이한 추출 방법 & 작업 방법- 일련번호 사용법 - 애니메이션 셀 출력 후 에펙 적용 방법
- SECTION 09
[포스트 프로덕션] 영상 제작
82. 포스트 프로덕션이란?- 포스트 프로덕션 과정의 이해 및 필요성 - 보정 차이 알아보기
83. 애프터이펙트 애니메이션 플러그의 기초 이해- 애프터이펙트의 기본 대시보드 설명 - 기본 툴에 대하여
84. 애니메이션 플러그 설치- 플러그 개념 이해 - 다운 및 설치 방법
85. 자주 사용하는 플러그 소개- 애니메이션 필수 플러그 설명
86. 자주 사용하는 이펙트 편집 방법- 보케, 라이트, 멀티플라이, 먼지 영상 등 카테고리별 분류하기
87. 간단한 촬영 실습- 작업한 공 튀기기 영상에 여러 가지 느낌 더하기 - 플러그 적용하기 - 스무스, 색 바꾸기, 멀티플라이
88. [심화] 촬영 실습 01- 블러, 색조, 이펙트 - 블러를 이용해 공간감 만들기 - 색조 조절 방법 - 반짝이는 이펙트
89. [심화] 촬영 실습 02- 마스킹, 마스크, 클리핑 활용법
90. [심화] 촬영 실습 03- 조정 레이어 - 컴포지션 합치기 - 합친 컴포지션 활용하기
91. [심화] 촬영 실습 04- 라인 색 바꾸기 - 라인 설정 바꾸기
92. [심화] 촬영 실습 05- 퍼펫 툴 이용하기 - 카메라 사용, 3D
93. [심화] 촬영 실습 06- 새로운 효과 알아내기 - 분석 및 검색 방법 - 무료 소스 활용법
94. [심화] 촬영 실습 07- 최종 보정 - 렌더링 설정 방법
95. 내보내기, 인코딩, 업로드- 촬영 후 내보내기 & 추출
- SECTION 10
효과적인 1인 제작에 대하여 & 마무리
96. 1인 제작자를 위한 파이프라인 간소화- 1인 제작의 한계 - 간단한 본인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하기 - 파이프라인 간소화 방법
97. 짧은 루프 애니메이션 제작- 간단 제작 방법 - 시장성에 대하여
98. 현장과 개인 의뢰의 차이- 각 장단점 - 회사 구속에 대하여
99. 포토폴리오 제작 방법 & SNS 활용법- 포토폴리오 홈페이지 제작 방법 - 필요한 작업물 살펴보기
100. 프리랜서 애니메이터로 살아남기- 각 파트의 장단점 -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