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셀 대표 최인영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플라워 디렉팅 01 : 공간 장식
01. 아치 프레임을 이용한 디자인[강의 특징] 클래식 아치 구조를 바탕으로 제한된 촬영 공간에 적합한 변형 디자인. 플로럴폼, 와이어링, 구조물의 조합을 통해 간결하면서도 입체감 있게 공간을 구성하며, 웨딩 세레모니나 촬영용 백드롭 등으로 자주 활용되는 스타일. [학습 포인트] 1. 아치 구조물별 세팅 방식 차이 이해 2. 컬러 밸런스 & 시선 흐름 조절을 위한 포인트 블로킹 3. 현장 기준 셋업 & 철수 시간 관리 플랜 제시
02. 행잉 장식[강의 특징]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연출하는 행잉 플라워. 가벼워 보이지만 구조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디자인 중 하나로, 실내 촬영장이나 웨딩 포토존 등 다양한 상황에 활용하기 좋다. 무게 분산, 고정력 유지, 시선 흐름 조절이 핵심이며, 실전 촬영용 디렉팅에서는 폼리스 구조와 모듈형 세팅을 적용한다. [학습 포인트] 1. 행잉 디자인의 무게중심 설계 및 고정 구조 이해 2. 공중에서의 시각 구성과 입체 블로킹 방식 학습 3. 폼 없이 작업하는 플라워 고정법 익히기 4. 협업 플로우 구성과 빠른 셋업 시나리오 제시
03. 롱 앤 로우 센터피스를 응용한 공간 장식[강의 특징] 테이블 센터피스 용도의 롱 앤 로우를 공간 장식으로 응용한 버전. 높이 조절, 구조 안정성, 시선 흐름 분산이 핵심이며, 플로럴 인스톨레이션 형태로서 현장 이동성과 모듈화가 중요하다. 작업 공정은 간단하지만 디자인 완성도가 잘 드러나며, 플로럴 폼 세팅 방식, 고정력 확보, 모듈화에 맞춘 꽃의 어레인지에 집중해야 하는 스타일. [학습 포인트] 1. 로우(low) & 하이(high) 센터피스 구조 차이 및 설계 2. 공간 장식에서 중요한 모듈화의 원리
04. 오브제를 활용한 공간 장식 : 엣지 플라워, 신부 대기실[강의 특징] 단순한 좌석을 넘어 연출의 프레임이 되는 촬영 현장과 본식 속 의자. 플로럴 요소를 활용해 사진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이며, 구조물과 오브제를 함께 사용해 의자 자체를 하나의 조형물로 승화하는 응용 디자인. [학습 포인트] 1. 의자 프레임 구조에 따른 장식 포인트 분석 2. 오브제와 플라워를 병합한 공간 연출 기획력 3. 노폼, 소형 플라워, 플로럴폼 고정 기술 4. 인물 사진을 고려한 시선 배치 훈련 5. 1인 설치 기준의 동선 설계 및 셋업 플로우
- SECTION 02
플라워 디렉팅 02 : 연출 소품
05. 화관[강의 특징] 웨딩 촬영, 본식, 돌잔치, 브라이덜 샤워 등 다양한 이벤트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플라워 악세사리. 머리둘레, 무게감, 무너지지 않는 형태감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고난도 구조물인 화관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와이어링 기법을 통해 실제 본식 및 촬영 의뢰에 적합한 고퀄리티 화관 실습을 진행합니다. [학습 포인트] 1. 머리둘레에 맞춘 기본 골조(베이스) 제작법 2. 와이어링 기법을 활용해 생화 고정력 극대화하기 3. 착용자의 피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마감 기술 4. 촬영/본식 환경에서도 형태 유지가 가능한 내구성 설계법
06. 이어커프 2피스[강의 특징] 귀를 중심으로 착용하는 플라워 악세사리. 비대칭 구조와 미세한 무게 변화에 따라 형태가 쉽게 무너지는 고난도 미니 오브제로, 와이어 틀 기반의 구조 설계형 / 본드 부착형 두 가지 다른 방식을 통해 만들어 볼 수 있다. 착용자의 얼굴형, 헤어스타일, 연출 콘셉트에 따라 다른 접근법을 실습한다. [학습 포인트] 1. 두 가지 베이스 구조의 비교 이해 (와이어 틀형 vs. 본드 부착형) 2. 이어라인 곡선에 맞춘 미니 플로럴 쉐이핑 기술 3. 밀착도 유지와 착용 테스트 프로토콜
07. 헤어핀 테크닉 2종[강의 특징] 단독으로 착용하거나 화관, 이어커프와 함께 사용되는 촬영 전용/본식 보조용 플라워 악세사리. 꽃 크기, 형태, 고정 방식, 두상 곡률을 고려해야 하며, 1인 플로리스트의 악세사리 상품 확장에 가장 유효한 아이템. 핀 골조를 활용한 디자인 / 와이어 프레임 타입 2종으로 실습을 진행합니다. [학습 포인트] 1. 핀 골조를 활용한 디자인과 와이어 프레임 타입의 특징 및 장단점 2. 착용 지속 시간과 조명 환경을 고려한 안정화 설계 3. 상품 구성 시 세트 디자인 응용
- SECTION 03
플라워 디렉팅 03 : 웨딩 부케
08. 케스케이드 부케[강의 특징] 물이 떨어지듯 자연스럽게 흐르는 곡선미가 핵심인 케스케이드 부케. 하중 조절, 소재의 길이 배합, 전체 쉐입 구성력을 통해 디자이너의 역량을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디자인. 구조 이해부터 흐름 제어, 안정성 확보까지 마스터하고, 까셀만의 내추럴한 케스케이드 스킬을 학습합니다. [학습 포인트] 1. 케스케이드의 쉐입과 테크닉의 정확한 이해 : 스파이럴과 파라렐 기법의 혼용 2. 주요 라인 소재 선정 및 중심선(blocking) 구성법 3. 스파이럴과 파라렐 기법 활용 4. 전체 쉐입의 밸런스 감각 훈련
09. 보뜨 부케 & 코사지 만들기[강의 특징] '장화 부케'라는 뜻으로, 장화의 특징인 발목(스템) 부분을 인위적으로 두껍게 만들어 꽃 파트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게 만드는 디자인. 센터피스 용도의 디자인을 웨딩 현장에 적용하는 부케로 응용한 버전. [학습 포인트] 1. 두꺼운 줄기 파트 만들기 2. 꽃과 그린, 텍스처의 조합 감각 훈련 3. 센터피스 용도의 보뜨 부케를 웨딩 부케로 응용하기 4. 착용을 고려한 코사지 만들기
10. 손목 부케[강의 특징] 까셀의 시그니처 디자인. 다양한 와이어와 본드를 사용해 시중의 손목 부케와는 색다른 디자인으로 진행됩니다. 까셀의 손목 부케 디자인에 대한 현장 스토리와 응용 버전(간단한 생화 꽃 타투)까지 알아봅니다. [학습 포인트] 1. 손목 부케 착용 구조 설계 : 와이어 활용법 2. 중심이 되는 포인트 플라워 & 보조 텍스처의 밸런스 블로킹 3. 상품 판매 시 응용 가능한 패키지 구성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