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터 천도윤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기초 응집력 만들기 : 캐릭터의 구조와 시선 유도
01. 데포르메와 인체 비율, 내 캐릭터의 기준 세우기- 남녀 캐릭터의 비율 설정과 드로잉 차이 이해 - 실루엣을 기반으로 내 캐릭터만의 비율 정하기 - 데포르메 vs. 리얼 스타일, 디테일 조절법
02. 시선을 모으는 구도 구성 훈련- 기본 구도(삼각형, 대각선, 중심 대칭)의 시각 효과 실습 - 정보 밀도 중심 배치로 시선을 고정시키는 방법 - 시선을 멈추게 하는 포인트와 흐르게 하는 리듬 만들기
03. 러프와 밑색에서 완성도가 갈리는 이유- 러프에서 구조 정확도와 정보 정리를 병행하는 방법 - 밑색 단계에서 채도와 명도 대비로 리듬을 만드는 방법 - 채색 전 단계에서 완성도를 80%까지 끌어올리는 TIP
- SECTION 02
선택과 집중 : 밀도 조절과 디테일링
04. 색 고르기: 컨셉에 맞는 팔레트 만들기- 감정별 컬러셋과 그라데이션 활용 (예: 포근함, 불안, 위협) - 채도 대비 및 색온도 대비로 입체적인 연출 설계하기 - 배경과 인물 색의 거리감 조절로 포인트 만들기
05. 묘사할 부위 vs. 생략할 부위 판단법- 시선이 오래 머무는 곳과 스쳐 지나가는 곳을 분리하는 기준 - 반무테에서 묘사 강조의 방식 차이 : 강조할 부위는 정보량 높이기, 나머지는 리듬 맞추기
06. 머리카락, 눈, 손의 임팩트 처리- 인상을 결정짓는 포인트 요소(눈, 머리카락, 손)의 우선순위 및 채색과 명암 강조 방법 - 선 없이도 형태를 정돈하는 브러시 테크닉
07. 복근 중심의 인체 구조와 채색 이해- 상체 중심 남캐의 해부학적 구조와 드로잉 TIP - 복근을 정보량 과다 없이 인상적으로 표현하는 묘사 방법 (단색 블록 → 형태 → 조명 흐름으로 완성도 높이기)
08. 반무테 채색의 밀도 조절 기법- 테두리 명확도와 내면 채색의 경계 흐림 조절법 - 무테처럼 보이면서도 흐릿해지지 않는 정보 설계 방법 - 브러시의 가장자리 선명도 조절로 입체감 만들기
- SECTION 03
인체의 설득력을 높이는 연출법
09. 단순히 ‘예쁜 몸’이 아닌, 이야기를 가진 인체- 단순히 이상화된 체형이 아닌, 상황과 맥락을 담은 자세 표현하기 - 해부학적 정답보다 ‘화면에서 살아있는 실루엣’을 우선하는 접근법 - 각 캐릭터 인체의 개성 살리기
10. 옷 위로도 느껴지는 신체 구조 만들기- 옷은 체형을 감추는 동시에 드러낸다 - 주름과 단면이 보여주는 구조의 방향성, 압박, 처짐의 묘사 기준
11. 고난도 구도 안에서 구조를 유지하는 법- 하이앵글, 로우앵글, 틸트 구도에서 무너지지 않는 인체 설계 - 입체 도형을 통한 재구성 훈련법 - 왜곡을 살리되 엉성하지 않게 정제하는 감각 훈련하기
- SECTION 04
연출 확장 : 구조, 빛, 감정의 흐름
12. 설득력 있는 클로즈업 연출법- 인물 중심 일러스트에서의 카메라 시점 구성법 - 눈, 입, 손 등 배치를 통해 감정선 유도하기 - 프레임 내 여백을 활용해 집중도 높이기
13. 액세서리, 의상, 이펙트를 활용한 연출- 과도한 정보량은 피하고, 중심은 강조하는 장식 배치법 - 움직임과 상황을 설명하는 보조 요소 및 소품 구성법 (예: 휘날리는 리본, 먼지 효과, 빛) - 시선 흐름에 맞춘 요소 배치의 순서 이해
14. 기획부터 보정까지, 일러스트 전 과정 정리- 키워드 선정 → 러프 시나리오화 → 조형 설계 흐름 정리 - 밑색 → 채색 → 보정 단계별 체크 포인트 설정 - 보정의 기준점 : 명암, 색온도, 정보량
- SECTION 05
고밀도 연출을 위한 고급 일러스트 설계법 01 : 구도와 배치
15. 말 없는 장면 연출: 비언어적 감정 전달법- 눈, 손끝, 몸의 방향으로 감정을 암시하는 프레임 설계하기 - 설명 없이도 감정이 전달되는 구도/구조 만들기 - 대사 없이도 감정선을 유추할 수 있는 컷 만들기
16. 관계성을 보여주는 다인 구성 컷 설계- 손짓, 몸의 방향, 눈 맞춤 여부를 통해 관계성 시각화하기 - 프레임 내 인물 간 거리로 친밀도 설정하기 - 말없이도 느껴지는 감정선 연출 설계
17. 정적인 장면에 긴장감 부여하기- 프레임 내 구도, 명암 대비, 시선 교차를 통해 긴장감 부여하기 - 빛의 방향과 색으로 감정의 온도감 설정하기 - 정지된 구도 안에 서사적 흐름 심기 - 정적인 포즈와 빛, 구도 조합으로 긴장감 부여하기
- SECTION 06
고밀도 연출을 위한 고급 일러스트 설계법 02 : 채색
18. 저채도 고밀도 일러스트- 무채색 계열에서 감정을 표현할 때 필요한 포인트 색 배치 방법 - 채도 대비 최소화 상태에서도 리듬감을 유지하는 법 - 명암 분할로 감정선에 깊이 주기
19. 감정 온도차 연출: 색과 거리의 심리 조정- 인물 중심의 온도감 배치 & 주변 인물 또는 배경과의 대비로 감정 유도하기 - 거리, 프레임 내 위치로 심리적 거리감 조성하기 - 포근함/위협, 친밀함/단절감을 색과 간격으로 표현하기
20. 회화적 질감과 디지털 브러시 믹스법- 텍스처 브러시와 반무테 붓질의 혼합 적용법 - 거친 질감과 정제된 영역의 대비 연출법 - 의도적으로 아날로그 느낌을 더하는 브러시 운용법
- SECTION 07
고밀도 연출을 위한 고급 일러스트 설계법 03 : 배경 활용
21. 숨겨진 설정을 암시하는 배치 연출법- 배경 오브젝트, 문양, 흔적 등을 통해 스토리 암시하기 - 인물 주변 소품의 내러티브 활용법 - '처음엔 눈치 못 채는 정보'의 배치 공식
22. 시선 흐름과 거리감을 고려한 배경 분할 및 압축 기법- 배경과 인물의 거리, 크기, 비율 이용한 상황 표현법
23. 한 컷으로 프롤로그 완성하기- '이야기의 시작'이 느껴지는 장면 구성 공식 - 미묘한 표정과 배경의 조화로 프롤로그 암시하기 - 다음 이야기를 유추하게 만드는 여백 설계 - 보는 이가 상상하게 만드는 컷 설계 훈련
- SECTION 08
객관적인 그림 분석
24. 셀프 피드백을 위한 체크리스트 만들기- 무엇을 전달하고 싶은가? 평가 기준 만들기 - 시선의 흐름, 정보의 밀도, 색 대비의 균형 점검 - 수정 전/후 비교를 위한 세부 항목 리스트 업
25. 팔로워 그림 피드백- 객관적인 시선을 받아들이는 방법 - 피드백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역량 키우기 - 내 작업의 대중적 반응 포인트 분석하기
- SECTION 09
마무리
26. 그림은 결국 계속 그리는 사람이 이긴다- ‘그림 잘 그리세요’ 뒤에 숨겨진 말들 - SNS 반응에 휘청였던 시간과 그로부터 얻은 통찰 - 다양한 도전과 좌절, 다시 일어서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