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터 챤2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관찰] 그림을 올바르게 보기 위한 눈
01. 오프닝, 그리고 '정보'란?1. 인삿말 2. 채색은 감각이 아니다 3. 채색의 선배님 '정보'란? 4. 눈동자 예시로 보는 정보 이용법
02. 컬러의 정의, 그리고 함정1. 색상환, 보색, 유사색, 명채도, 색조 설명 2. 색과 빛의 차이: 눈이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 3. 색이 주는 착시현상 4. 전진/후진색, 확장/수축색 5. 주변색으로 인한 인식 저해 6. 함정에 빠지지 않는법
03. 색의 '이미지'와 그림에서의 적용1. 실제 색과 나의 기억, '이미지'의 차이 2. 현실을 그림으로 만들어내는 과정 실습
04. 음식의 간, 음악의 템포, 그림의 '강약'1. 강약이 중요한 이유 2. 정보의 총량의 중요성 3.멀리서 보고, 가까이에서도 보기 4. 그림의 강약을 분석하는 법
05. 그림을 보는 또 다른 눈 '톤'에 대해서1. 톤이란 무엇일까 2. 톤이 중요한 이유 3. 그럼 좋은 톤 배치란 무엇일까? 4. 번외: 채색과 디자인의 관계
- SECTION 02
앞으로의 실습을 위한 채색법
06. 마우스로도 가능한 색러프 그리기1. 전체적인 채색 공정 설명 2. 추천하는 이유 3. 터치감을 이용하는 타이밍
- SECTION 03
[이해] 캐주얼 그림에서의 채색법들
07. 캐주얼 그림에서의 컬러란?1. 채색을 '잘' 하는 법이란 2. 나는 어떤 그림쟁이가 되고싶을까 3. 캐주얼 그림의 여러가지 분류
08. 캐릭터 묘사 중심1. '캐릭터'가 주제인 일러스트란 2. 현실성을 살리는 방법 A 3. '섹시'의 활용법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09. 빛과 분위기 중심1. '무드'로 승부하는 일러스트란 2. 현실성을 살리는 방법 B 3. 캐릭터와 분위기 사이의 줄다리기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10. 드로잉 중심1. 나의 '드로잉'을 강점으로 만드는 방법 2. 가장 어려운 것! '묘사 참기' 3. 절제된 채색에서 개성을 드러내는법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11. 채색 중심1. 나의 '채색'을 강점으로 만드는 방법 2. 그럼에도 필수로 필요한 '드로잉' 3. 배색, 라이팅, 묘사 쓸 수 있는 모든것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12. 평면 중심1. '납작한' 그림의 장단점 2. 가시성과 가독성의 차이 3. 입체감은 필수가 아니다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13. 입체 중심1. '깊은' 그림의 장단점 2. 우리가 투시를 느끼는 방식 3. 그림을 입체적으로 만드는 방법 4. 해당 채색법의 이용처
- SECTION 04
[연습] 약점을 채우기 위한 공부법
14. 채색에서 필요한 공부란?1. 다시 한 번 알아보는 채색의 구성요소 2. 무언가를 공부한다는것은 3. 약점에 따른 공부법 분류 4. 약점을 채우는 것 vs 강점을 더하는 것
15. 눈 단련법1. 컬러 모작을 통한 눈 훈련 2. 스포이드 이용법 3. 실제 공부시 팁
16. 컬러 구성 연습1. '그림'을 보고 뜯어먹는 법 2. '분석'이 결코 어려운게 아닌 이유 3. 탄탄한 그림쟁이가 되는법
17. 실리적인 묘사 연습1. 얼굴, 피부, 의상 묘사 훈련법 2. 무조건 열심히 묘사한다고 좋은것이 아니다 3. 많은 그림쟁이들의 고민 '개성'이란
- SECTION 05
[실전] 일러스트레이터 챤의 채색 프로세스
18. 복수의 캐릭터가 들어가는 일러스트1. 강사 chyan이 되고싶은 모습 2. 실전에서 만나게 될 일러스트들 3. 정답으로 다가가는 과정 4. 배색에서 색러프까지
19. 채색 실전 프로세스1. '채색법'을 원하는 이유 2. 완성의 기준 3. 묘사에서 완성까지
20. 정리 및 마무리1. 강의 내용 압축 정리 2.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3. 내가 정하는 성공의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