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터 Cosmos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강의 목적과 기본이론
01. 그림을 공부하는 방법1. 그림을 그리는데 정보가 중요한 이유 2. 표현은 손의 운동 능력 3. 객관적인 평가와 사고의 중요성 4. 잘그린 그림과 좋은 그림
02. 그림의 개성을 표현하는 방법과 조건1. 선이 중요한 이유 2. 목적 없는 선과 목적이 있는 선 3. 수작업, 왜 중요할까?
03. 도형, 절대로 그냥 넘어가서는 안되는 이유1. 도형이란 무엇인가? 2. 도형, 효율적인 그림 공부를 하기 위한 필수 요소 3. 자유롭게 도형을 가지고 놀 수 있으면 좋은 점 4. 도형을 쪼개는 연습 5. 도형 연습 언제 해야 하는가?
- SECTION 02
정확,효율,입체적으로 인체를 표현하기 위한 이론
04. 도형을 사용한 기초 드로잉(가이드 드로잉)1. 가이드 드로잉 왜 필요한가? 2. 지우기 쉽고 버리기 쉽기에 용의한 가이드 드로잉 3. 재질감의 고정관념을 덜고 사용해보는 가이드 드로잉 4. 원터치 드로잉? 가이드 드로잉을 그리는 습관이 필요한 이유
05. 기초 드로잉(가이드 드로잉)으로 그림 그리기1. 자신이 편하다고 생각하는 도형 찾기 2. 뼈에 기준하는 가이드인가? 근육에 기반한 가이드인가? 3. 가이드 드로잉으로 크로키 하기 4. 보편적인 가이드 드로잉으로 사람의 형태를 변형해보기 5. 자신이 그린 그림들로 객관적인 평가해보기
06. 투시도법과 이를 사용한 인체 투시1. 투시도법이란? 2. 투시도법의 사용 이유 3. 투시도법의 사용과 활용
- SECTION 03
해부학을 공부하는 방법과 정보론
07. 인체의 해부학적 요소와 인체의 비례1. 해부학 중요한가? 어떻게 공부하는가? 2. 인간의 해부학적 특징과 표현
08. 능동적으로 공부하기 위한 해부학의 기본 정보1. 얼굴 해부학적 정보 2. 상,하체 해부학적 정보 3. 팔 해부학적 정보 4. 다리 해부학적 정보
- SECTION 04
세부적인 인체 공부와 크로키
09. 크로키의 종류와 방법1. 크로키를 접하는 다양한 방법 2. 크로키를 할 때 주의해야하는 것들 3. 추천하는 크로키 단계와 순서
10. 실사와 캐주얼 그리고 데포르메1. 실사와 캐주얼의 차이 2. 캐주얼과 실사는 다른가? 3. 데포르메는 캐릭터성을 강조하는 것
11. 캐주얼체의 각 부위를 표현하는 방법1. 실사의 눈, 코, 입을 캐주얼에 괴리감 없이 표현하는 방법 2. 실제 인체를 캐주얼 인체로 옮겨보기
12. 디테일한 신체부위 표현하기1. 견갑골, 쇄골 그리고 상완골의 관계 2. 손 가이드 드로잉 3. 골반과 대퇴골 4. 종아리와 허벅지의 관계 5. 발 가이드 드로잉과 신발 표현
13. 인체와 옷주름의 관계1. 옷주름 특징 2. 인물 위에 올라가는 주름 3. 옷주름 데포르메
14. 캐주얼 캐릭터의 감정표현1. 감정표현의 종류 2. 직접적인 감정표현과 간접적인 감정표현 3. 복잡한 감정
15. 머리카락 표현 방법1. 캐릭터에게 머리카락이란? 2. 헤어라인과 스타일링
- SECTION 05
카메라와 인물
16. 카메라와 인물의 관계1. 카메라란? 2. 카메라의 위치에 따은 인체의 특성 3. 카메라 렌즈에 따른 연출의 특징
- SECTION 06
인체의 흐름과 포스 드로잉
17. 인체 밸런스1. 인체 중심 알아보기 2. 밸런스가 중요한 이유와 밸런스가 깨졌을 때 3. 빈 공간 위에 사람 세우기
18. 인체 흐름1. 인체의 흐름이란? 2. 큰도형으로 나타내는 인체의 흐름 3. 인체의 흐름이 옷 주름에 주는 영향
19. 힘의 방향이 느껴지는 포스 드로잉1. 포스 드로잉이란? 2. 포스 드로잉 이론
- SECTION 07
자신만의 캐릭터를 그리는 방법
20. 도형으로 인물 조성하기1. 무작위 도형위에 인물 구성해보기 2. 다양한 기본 도형을 조합하여 인물 표현하기
21. 레퍼런스의 활용1. 레퍼런스를 찾을 때 주의점 2. 컨셉 정하기 3. 레퍼런스를 활용하여 표현하기
- SECTION 08
그림의 접근 방법과 마무리
22. 성인이 공부를 하는 방법과 그림을 접하는 방법1. 그림이란? 2. 재능이란 것이 실제하는가? 3. 분명한 목적의 중요성 4. 그리기 전에는 감성적으로, 그릴 때는 이론적으로 5. 호기심은 흥미와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