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터 석구팔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직관적인 아이디어 시각화의 중요성
01. 안녕하세요, 석구팔입니다.- 강의 내용 소개 -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들에 관하여
02. 아이디어 시각화의 중요성 이해하기- 시각화의 중요성 - 자유로운 화면 구성 방식 - 시각적 사고와 조형 실험 - 실습을 통해 알아보는 아이디어 시각화
03. 다양한 레퍼런스 분석을 통해 아이디어 시각화 과정 살펴보기- 레퍼런스 분석과 패턴 학습 - 내러티브 상상력 훈련 - 조형 이론과 시각적 선호 예시 - 일러스트 드로잉 패턴의 체계화와 내재화
- SECTION 02
아이데이션과 시각화 방법
04. 무드보드 구성을 위한 간단한 규칙들- 이미지 선별 작업 - 무드 연결성과 조화 유지 - 무드보드 구성 및 분석 - 시각적 정보 학습 과정
05. 러프 스케치 기법- 무드보드를 활용한 러프 스케치 - 자유로운 아이디어 배치 - 단계별 러프 스케치 과정 - 에스키스 방식의 시각적 확인
06. 비주얼 정보 기반의 마인드맵식 아이디어 시각화- 러프 스케치 디테일 업 - 러프 스케치 바리에이션 - 캐릭터 및 요소별 디자인 - 단계별 디테일 추가하기
- SECTION 03
직관을 통해 날 것의 표현하기
07. 내게 맞는 그림 도구 찾기 : 현실 vs. 디지털 페인팅- 현실 재료와 디지털 도구 비교 - 디지털 브러시 설정 - 포토샵과 클립스튜디오의 차이 - 도구별 특징 비교 - 디지털 페인팅 스타일별 압력 설정
08. 스트로크와 컬러 믹싱을 활용한 직관적인 형태/색 찾기- 현실과 디지털에서의 색 사용 차이 - 조명과 환경에 따른 색 변화 - 디지털 컬러 믹싱 - 색상 블렌딩 방식
09. [실습] 머릿속 상상을 흐릿하게 꺼내보기- 컬러 블렌딩 및 기본 실루엣을 활용한 러프 스케치 시연
- SECTION 04
통찰을 통해 내러티브 상상하기
10. 현실 속 다양한 관찰 사례- 레퍼런스 분석 심화 - 인물 사진을 활용한 내러티브 추론
11. 각종 사물의 흔적과 스토리 상상하기- 유적 또는 돌무더기 사진을 활용해 스토리 상상하기 - 상상력을 활용한 세계관 구축 방법
12. [실습] 상상 속 세계의 작은 부분을 꺼내 그려보기- 9강 작업에 어울리는 디자인 구상하기 - 배경 및 프랍을 마인드맵 방식으로 확장하기 - 등장 캐릭터 디자인 & 세부 디테일 추가
- SECTION 05
더욱 자유롭게 화면 속 조형감 다듬기
13. 화면에서의 컴포지션과 영역 분할 알아보기- 다양한 3등분 사례 분석 - 캐릭터 디자인과 화면 구성에서의 3등분 비례 사례 탐구 - 시각 보정과 화면 프레이밍 기법 -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시선의 흐름 유도 - 러프 스케치 시연
14. 실루엣 강조하기- 실루엣과 화면의 비율을 위해 형태의 경계를 합치는 기법 시연 - 네거티브 스페이스와 포지티브 스페이스의 비율 확인 - 실루엣을 효과적으로 강조하는 방법 분석 - 실루엣의 규칙성과 변칙성이 필요한 부분
15. [실습] 조형적 화면 구성에서 아이디어 도출하기 & 디테일 업- 아이디어보다 화면 구성을 우선하는 접근 방식 실습 - 다양한 선 스케치와 도형을 활용한 화면 구성 - 구성된 형태에 맞춰 러프 스케치 제작하기
- SECTION 06
은은한 채도의 색감 표현 : 컬러링도 드로잉이다
16. 드로잉과 컬러링의 관계 탐구- 드로잉과 컬러링을 비슷한 개념으로 진행해 보기 - 선의 방향성을 이해하고 라인 드로잉에서 컬러 드로잉으로 이어지는 연결 과정 확인하기 - 색 차이 없이 스트로크의 흐름에 따라 입체감이 형성되는 원리
17. 컬러 크로키로 컬러링과 드로잉 통합하기- 컬러 크로키 시연 - 색 사용과 선 사용을 분리 없이 자유롭게 넘나드는 크로키 - 컬러링과 드로잉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방식 훈련
- SECTION 07
질감이 느껴지는 텍스처링 : 빛에 대한 간단한 이해 (with. 카메라와 렌더링)
18. 카메라 광각과 화이트밸런스, 노출에 대하여- 카메라 렌즈와 시각적 원리 설명 - 점투시작도법과 광각에 따른 투시 변화 및 활용 방식 - 화이트밸런스의 개념 및 현실에서의 색 인식과 차이 분석 - 화이트밸런스 조정이 심상적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 카메라의 노출과 측광 개념 - 그림에서의 밝음과 어두움에 대한 상대적 개념
19. 그림 속 빛 추적하기 : 물체의 표면 정보에 따른 렌더링- 게임 렌더링의 PBR Material 요소 분석 - 렌더링에 사용되는 다양한 렌더 패스 소개 - 그림 속 광원을 확인하고, 물체의 위치와 반사광 분석하기 - 레이트레이싱의 원리를 참고해 반사광을 조절하고 시각적 배치 결정하기
20. [실습] 텍스처 및 묘사- 이전 강의에서 진행한 러프 스케치에 텍스처와 빛에 따른 묘사 디테일 추가하기
- SECTION 08
독보적인 분위기 연출 : 자유롭게 활용하는 빛과 색
21. 따뜻한 한색? 차가운 난색? 다양한 색상과 용도 알아보기- 화이트 밸런스와 색의 온도 변화 - 따뜻한 한색과 차가운 난색의 개념 정리
22. 다양한 색과 빛을 활용해 무드 표현하기- 영화 클립을 활용한 색 조합 활용 사례 분석 - 특정 색 조합이 심상과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 명부와 암부를 나누어 색을 적용하는 방식 - 색 조합 이론을 적용한 분석 및 실습
23. [실습] 보정 및 연출- 포토샵의 색상 검색 기능과 Camera Raw 기능을 활용한 보정
- SECTION 09
배경도 캐릭터다
24. 인물과 배경의 관계 탐구- 인물과 배경이 함께 있는 그림에서 유의할 점 - 캐릭터와 배경을 함께 구성할 시 어려운 점
25. 인물과 배경을 통합하는 방법- 인물과 배경을 통합적으로 기획하기 - 조화로운 인물 배치 - 평면적/입체적 화면 구성에 따른 라이팅
- SECTION 10
그림에서의 배경과 공간 구성, 평면적 구성에 대하여
26. 공간 구성과 평면적 구성의 차이- 명화를 기반으로 공간 구성과 평면 구성 비교하기
27. 그림에서의 공간 구성- 정육면체와 라이팅을 활용한 공간 구성 및 실루엣 위주의 캐릭터 표현 - 공간 구성에 필요한 다양한 프랍 배치 - 상황에 어울리는 빛 연출
28. 평면적인 그림 구성- 평면적 구성을 위한 강한 실루엣과 효과 활용법 - 왜곡을 감안한 더 강한 실루엣 표현법 - 장식적 요소 활용을 통한 디자인 가능성의 확장 - 공간에서의 빛 강조 vs. 평면에서의 효과와 텍스처 강조
- SECTION 11
다양한 요소를 통합하는 그림
29. 다양한 요소 통합의 중요성- 컬러링과 드로잉, 배경과 캐릭터를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방법 - 기본적인 개념을 넘어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
30. 그림을 그리는 성향과 접근 방식- 소심해서 직관이 부족한 사람 vs. 참을성이 없어 감으로만 그리는 사람 - 수정과 경험의 체계화
31. 마무리 & Q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