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 웹소설작가 노조미 코타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소설의 기획이란 무엇인가
01. 자기소개 / 강의 개요- 자기소개 및 과거 작업 사례 소개 - 각 섹션별 강의 내용 개요 설명
02. 소설 기획- 소설 기획이란? - 플롯과 기획의 차이 - 소설이라는 매체의 특징 - 캐릭터 비즈니스로서의 소설
03. 작가라는 직업- 상업적으로 데뷔하기 위해 - 신인상과 웹소설 - 데뷔 후에는 어떤 일이 기다리는가 - 출판사의 자금으로 책을 낸다는 것: 출판사는 투자자라는 인식을 갖자 - 작가 활동의 확장성: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각본, 시나리오 라이터 등
- SECTION 02
캐릭터에 대하여
04. 캐릭터를 생각하는 방식- 주인공은 극단적으로 나누면 두 가지 유형뿐 ※ 독자 시점형 주인공, 히어로형 주인공 - 대부분의 이야기는 이 둘 중 하나 - 감정 이입이 되는 주인공을 만들려면 - 주인공을 먼저 설정한 뒤, 다른 주요 인물을 생각하자
05. 캐릭터는 배치될 때 빛난다- 캐릭터는 혼자서 존재할 수 없다 - ‘캐릭터가 살아 있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 캐릭터가 살아 있을 때 어떤 점이 도움이 되는가 - 자신이 그리고 싶은 속성만 반복해서는 안 된다
06. 직접 캐릭터를 배치해보자- 캐릭터 조합을 고민해보자 - ‘정반대의 캐릭터’가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자 정신적 반대, 신체적 반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 대사에서 캐릭터를 떠올려보기 - 이름에서 캐릭터를 설정해보기
- SECTION 03
소설을 쓰기 전에 해야 할 것들
07. 캐릭터와 스토리, 무엇부터 만들까- 캐릭터, 스토리, 설정의 차이 - 이야기란 무엇인가 / 설정이란 무엇인가 / 캐릭터란 무엇인가 - 클리셰와 약속된 전개에 대하여 - 오리지널리티란 무엇인가: 많이 읽을수록 생겨나는 독창성 - 독창성은 약속된 틀 위에 존재한다
08. 인풋과 아웃풋- 독서량은 반드시 필요한가 - 인풋은 아웃풋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 독자와의 공통 언어 -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파고들고, 그것을 언어화하자
09. 읽기 쉬운 문장이란- 문장력이란 무엇인가 - 1인칭과 3인칭의 차이 - 핵심은 ‘카메라’를 어디에 두느냐 - 작은 장치로 가독성을 높이는 팁 - 만화 원작, 각본에서 요구되는 문장력
10. 문장 연습법- 필사 연습 - 좋아하는 작품을 보지 않고 기억만으로 써보기 - 무엇이든 일단 써보는 것
- SECTION 04
기획을 만드는 방법
11. 상업적으로 글을 쓴다는 것- 제목 짓기: 소설은 제목에서 시작된다 - 한 문장으로 요약하기 - 미디어믹스를 염두에 두면 템포 좋은 작품이 나온다 - 웹소설에서 배우는 템포감
12. 출판사가 팔기 쉬운 작품이란- 홍보하기 좋은 상품을 기획하기 - 썸네일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고려하기 - ‘화제성’을 노려보기 - 팔릴 수 있는 방향에서 역산해, 그 안을 재미있게 구성하기
13. 상업적 시점에서 본 장르의 이해- 현대의 장르는 검색 태그로 정의된다 - 유행 장르를 조사하고 분석하기 - 유행과 메타: 유행을 비틀어 반격하는 것이 다음 트렌드가 될 수도 있다
- SECTION 05
작품을 기획하기
14. 플롯 작성 전에 해야 할 일- 제목과 줄거리 구성 - 캐릭터 시트의 장단점 - 설정에 너무 집착하지 않기 - 임팩트만으로는 부족하다: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기획
15. 플롯을 직접 써보자- 플롯 작성 실습 - 기승전결의 사고 방식 - 캐릭터, 설정, 스토리라는 세 가지 축으로 생각하기 - 기획서로서의 플롯의 기능
16. 독자와 출판사의 입장에서 플롯 다시 보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 - 독자는 당신의 팬이 아니다 - 돈을 내고라도 읽고 싶은 기획인가? - 라이트노벨로서의 플롯 - 만화 원작으로서의 플롯
- SECTION 06
직접 써보자
17. 소설 집필하기- 집필 환경에 대하여 - 최고의 도입부를 고민하기 - 설명과 묘사의 차이 - 1인칭 시점, 말투, 이름 부르기를 통해 캐릭터를 선명하게 표현하기
18. 캐릭터 표현법- 지루한 부분을 덜어내는 작업, 핵심을 추리는 미학 - 대화극의 기본은 역할 간의 균형에 있다 - 설정이 아닌 캐릭터로 이야기를 전개하기
19. 스토리 전개 방식- 기승전결 속에도 기승전결이 필요하다 - 각 장에서 해야 할 일 - 다음 장면을 궁금하게 만드는 ‘이끌림’을 의식하기
- SECTION 07
주의할 점
20. 캐릭터 구성 시 주의할 점- 캐릭터 수가 지나치게 많지 않은가 - 비슷한 캐릭터들만 나열되어 있지 않은가 - 템포감을 살리기 위해서는 캐릭터가 확실히 살아 있어야 한다 - 캐릭터가 현대적인 가치관에 맞춰져 있는가
21. 스토리와 설정에서의 주의점- 늘어지는 전개가 이어지고 있지는 않은가 - 이벤트 등장 순서를 고려하고 있는가 - 전문 용어가 너무 많을 때는 클리셰(템플릿)를 활용해 회피하기 - 독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캐릭터’다
22. 기획 단계에서의 주의점- 주제와 세일즈 포인트는 다르다 ※ 읽어봐야 알 수 있는 것이 주제, 읽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이 세일즈 포인트 - 제목은 나중에 정해도 괜찮다 - 줄거리와 카피 문구의 차이 - 전면 폐기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폐기는 결코 헛된 일이 아니다 - 많이 만들어보는 용기
- SECTION 08
작가로 계속 살아간다는 것
23. 작가로서의 워크라이프 밸런스- 작가로서의 일상 - 나는 어떤 작가가 되고 싶은가: 돈을 벌고 싶은가, 팔리고 싶은가 - 길을 잃지 않기 위한 목표 설정 - 기획은 중요하지만, 모든 것을 기획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24. 자기실현으로서의 작가- 필명을 고민해보기 - ‘작가’라는 페르소나 - 자기실현의 방식으로서의 창작 - 내가 그려야 할 것
25. 작가로서 수익을 창출하는 법- 작가 수입의 흐름 - 인세와 매절(일괄 매입) 작업의 차이 - 지식재산(IP)을 창출하는 직업
- SECTION 09
마무리
26. 마무리- 핵심 내용 정리 - 캐릭터와 허구와 함께 살아가는 삶 - 이야기를 창조하는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