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또디솔레대표 서지현4 Details
커리큘럼을 보여드려요
- SECTION 01
찹쌀떡 파헤치기, 규히와 셋빼 기초
01. 규히[제품 설명] 규히(ぎゅうひ)는 찹쌀가루에 설탕과 물을 넣어 쪄낸 뒤 치대어 만드는 고수분 찹쌀 반죽으로, 모찌·셋빼·네리키리 감싸기 등 다양한 화과자 조형의 베이스가 됩니다. 단단하게 굳지 않고 부드럽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며, 가열과 배합 방식에 따라 탄력·신장성·보관성이 크게 달라지는 민감한 공정의 반죽입니다. [학습 포인트] 1. 찹쌀 젤화 과정 이해 및 가열 온도·수분 최적화 2. 찜기·전자레인지 등 증숙 방식별 물성 차이 비교 3. 설탕·전분·소금 비율 조절로 질감 맞추는 기법 4. 보관 시 수분 이탈 방지 및 탄성 복원하기
02. 모나카[제품 설명] 셋빼는 찹쌀 기반 화과자 중에서도 익힘 타이밍과 질감 조절이 가장 까다로운 반죽입니다. 정확하게 만들면 어떤 형태도 매끄럽게 표현할 수 있으며, ‘몰캉몰캉한 질감’과 ‘매끈한 백색’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고급 화과자 반죽의 기본입니다. [학습 포인트] 1. 구체적 기준(물 위에 뜨는 시점·채망 물성 등)으로 익힘 타이밍 파악하기 2. 반복성 있는 반죽 혼합 및 머랭 사용 노하우 3. 손 압력·회전 각도·조형 순서를 통해 울퉁불퉁함 없이 매끈한 반죽 표면 구현 4. 머랭 배합으로 하루 이상 지나도 몰캉한 질감을 유지하는 레시피 학습
03. 셋빼 반죽 만들기[제품 설명] 셋빼는 익힘 타이밍과 질감 조절이 가장 까다로운 찹쌀 반죽으로, 정확히 만들면 어떤 조형도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몰캉몰캉한 질감과 매끈한 백색을 동시에 갖춰야 하는 고급 화과자 반죽의 기본 과정입니다. [학습 포인트] 1. 익힘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밍 체크법 2. 핸드믹서를 활용한 안정적인 반죽 혼합 3. 울퉁불퉁하지 않게 매끄럽게 마무리하는 손 압력·각도 4. 머랭 활용으로 하루 이상 지나도 몰캉함 유지하는 방법
[Recipe Only] 콩심콩 팥심팥
- SECTION 02
쫄깃한 모찌 디저트, 셋빼
04. 매화[제품 설명] 하얀 셋빼 반죽에 은은한 색을 더해 다섯 장의 꽃잎을 겹겹이 올린 입체 매화 화과자입니다. 섬세한 색감과 볼륨 있는 실루엣으로, 한입에 넣었을 때 꽃잎이 퍼지는 듯한 감각을 줍니다. 선물용과 티 페어링 디저트로 적합한 고급스러운 작품입니다. [학습 포인트] 1. 색소 비율과 수분량 조절로 자연스러운 색감 구현 2. 반죽 분할과 볼륨 있는 정형 손기술 익히기 3. 꽃잎 배치 순서와 각도 조정으로 입체감 살리기 4. 표면 찢어짐 방지와 매끄러운 마무리 압력 조절
05. 포슬포슬 토끼[제품 설명] 말랑한 셋빼 반죽에 포슬포슬한 털을 입히고, 귀와 꼬리를 더해 완성하는 토끼 캐릭터 화과자입니다. 속에는 부드러운 춘설 앙금이 가득 차 있어, 첫입은 포근하고 끝맛은 달콤합니다. 귀여운 비주얼로 선물용이나 티타임 디저트로도 손색없는 작품입니다. [학습 포인트] 1. 재료가 잘 붙도록 반죽 표면 점도와 수분감 조절 2. 귀·꼬리 등 소형 파츠를 안정적으로 조형·부착하는 법 3. 눌리지 않고 입체감을 살리는 털 마감 표현 기법 4. 앙금 충전 시 겉모양 유지하는 성형 균형 맞추기
06. 봄날의 왈츠[제품 설명] 말랑한 셋빼 반죽 위에 다양한 색의 시크릿 재료를 조각조각 덮어, 따뜻하고 경쾌한 패치워크 질감을 표현한 화과자입니다. 색감의 조합과 배치에 따라 전혀 다른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어, 선물 박스나 감성 마켓에서 개성 있는 포인트 제품으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학습 포인트] 1. 미니 셋빼를 위한 정교한 반죽 분할/성형 기법 2. 전통 모티프를 활용한 테마 아이템 조형 스킬 3. 조형 흐름을 해치지 않는 미세 파츠 부착 노하우
07. 모닝글로리[제품 설명] 투명한 양갱으로 만든 나팔꽃을 셋빼 반죽 위에 올려 완성하는 고급 조형 화과자입니다. 국자 위에서 얇고 평평하게 잡아낸 꽃잎은 햇살을 머금은 듯 빛나며, 줄기의 곡선과 꽃잎 주름까지 정교하게 표현되어 ‘보석 같은 디저트’의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학습 포인트] 1. 국자에 양갱을 얇고 균일하게 굳히는 제작법 2. 자연스러운 꽃잎 주름을 만드는 기술 3. 셋빼와 양갱 조형을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부착법 4. 곡선 줄기를 살리는 앙금 파이핑 압력·흐름 조절
08. 여름 물방울 [제품 설명] 동그란 셋빼 반죽을 중심에 두고, 넓게 편 셋빼 반죽으로 감싼 뒤 맑은 하늘색 양갱을 겹겹이 발라 완성하는 화과자입니다. 세 겹으로 표현된 청량한 색감 속에서 물방울처럼 반짝이며, 마치 작은 어항을 들여다보는 듯한 시각적인 매력을 지닌 여름 시즌 디저트 [학습 포인트] 1. 균일하게 펴서 내부 반죽을 감싸는 성형법 2. 양갱을 얇고 투명하게 발라 3겹의 색감 연출 3. 색이 번지지 않는 양갱 타이밍 조절 4. 어항 같은 입체감을 살리는 조형 포인트
[Recipe Only] 해바라기, 오동통 물개, 보석함
- SECTION 03
명절에 인기 있는 셋빼
09. 반짝이는 사과[제품 설명] 동그란 셋빼 반죽을 반투명 양갱에 담가 글로시하게 코팅한 미니 사과 화과자입니다. 겹겹이 번지는 붉은빛이 유리알처럼 빛나 쇼케이스용 디스플레이나 가을 시즌 한정 구성에 적합한 시각적인 디저트입니다. [학습 포인트] 1. 균일한 반구 형태로 성형하는 안정적인 조형 2. 양갱 농도와 온도를 맞춰 매끄럽게 밀착되는 코팅법 3. 다중 코팅으로 색감 깊이와 과일색 입체감 표현 4. 광택과 표면 손상을 막는 마감·건조·보관 조건
10. 장미[제품 설명] 흰 셋빼 반죽 위에 투명한 양갱 꽃잎을 한올한올 겹겹이 감싸 올려 장미 형태로 완성하는 화과자입니다. 꽃잎이 겹치며 생기는 자연스러운 그러데이션이 유리처럼 영롱하게 빛나, 한 송이만으로도 감탄을 자아내는 고급 디저트입니다. [학습 포인트] 1. 꽃잎이 밀착되도록 셋빼를 매끄러운 반구로 성형 2. 일정한 두께로 꽃잎을 굳히고 깔끔하게 컷팅 3. 투명 양갱의 겹침으로 자연스러운 그러데이션 4. 꽃잎이 처지지 않도록 각도와 압력을 조절
11. 새와 동백[제품 설명] 고소한 흑임자 반죽과 부드러운 기본 셋빼 반죽을 반반 나누어 조화시킨 바탕 위에 작은 새와 동백꽃을 앙금으로 섬세하게 표현한 화과자입니다. 차분한 색감과 정서적인 조형미로 겨울 시즌 한정 구성이나 감성적인 티 페어링 디저트 [학습 포인트] 1. 흑임자와 기본 반죽을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2. 두 반죽의 질감 차이를 맞추는 수분·농도 조절 3. 동백꽃 파이핑과 작은 새 조형을 위한 세밀한 디자인 테크닉
12. 과일모찌[제품 설명] 상큼한 생과일과 앙금을 셋빼 특유의 단단하고 쫀쫀한 반죽으로 감싸 완성하는 프리미엄 과일 화과자입니다. 앙금의 단맛과 과일의 산미가 셋빼의 질감과 어우러져 찹쌀떡과는 다른 식감과 완성도를 갖춘 디저트로 완성하기. [학습 포인트] 1. 과일 수분 조절과 전처리로 반죽 손상 방지 2. 감싸기형·삽입형 두 가지 반죽 감싸기 구조 실습 3. 앙금과 과일 배치로 단면 색 대비와 안정성 확보 4. 보관 조건에 따른 식감 변화와 판매 기준 이해